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4절기 '처서'의 의미와 '벌초'와의 연관성(+지구온난화, 말벌조심)

by 인포웨이브포유 2025. 8. 23.
반응형

 

오늘은 24절기중 '처서'입니다.

'처서'는 한자로 '더위가 그친다'는 의미인데, 저희 집안은 '처서'이후 첫번째 토요일에 '벌초'를하는 룰이 있엇

오늘 '벌초'를 했네요.

 

그런데 '지구온난화' 때문인지, 올해 '처서'는 정말 너무 덥네요.

그리고 '말벌'이 너무 많습니다. 벌초하실 때 주의하세요.

이제는 '처서' 후 '다다음주 토요일'로 벌초일자를 바꾸어야 하는지 심각하게 고민이 되네요.

 

 

 

처서의 개념과 의미

처서(處暑)는 24절기 중 14번째 절기로, 매년 양력 8월 23일 전후에 해당합니다. 한자의 의미를 살펴보면 '處'는 '머물다, 그치다, 다스리다'라는 뜻이고, '暑'는 '더위'를 의미하므로 처서는 문자 그대로 '더위가 그친다' 또는 '더위를 다스린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처서의 기후적 특징

처서는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는 전환점 역할을 하는 절기입니다. 이 시기의 주요 기후적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온도 변화: 극서(極暑)라고 불리는 한여름의 무더위가 서서히 꺾이기 시작합니다. 낮에는 여전히 더위가 남아있지만, 아침저녁으로는 서늘한 바람이 불기 시작해 일교차가 커집니다. 이를 '조석지한(朝夕之寒)'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날씨 패턴: 여름철 태평양 고기압의 세력이 약해지면서 선선한 북풍이 불어오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간혹 '늦더위' 또는 '가을 더위'라고 불리는 무더운 날씨가 찾아오기도 합니다.

자연 현상: 매미소리가 점차 줄어들고, 귀뚜라미나 벌레소리가 들리기 시작합니다. 또한 이른 아침에 이슬이 맺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처서 시기의 농업과 생활

농업적 의미: 처서는 농업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 벼가 패기 시작하고 알곡이 여물어가는 때로, 농부들은 수확을 준비해야 합니다. 또한 가을 농작물의 파종 시기이기도 합니다.

전통 생활: 우리 조상들은 처서를 기점으로 가을옷을 준비하고, 김장용 배추를 심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각종 곡식의 수확을 위한 농기구를 정비하는 시기이기도 했습니다.

벌초를 처서 이후에 하는 이유 - 상세 분석

1. 기후 및 건강상의 이유

온도와 습도: 처서 이전의 한여름 더위는 체감온도가 35도를 넘나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환경에서 벌초와 같은 야외 육체노동을 하면 열사병, 탈수증 등의 위험에 노출됩니다. 처서가 지나면 기온이 2-3도 정도 떨어지고 습도도 낮아져 작업하기 훨씬 수월해집니다.

일조량과 작업시간: 처서 이후에는 일조시간이 점차 짧아지면서 상대적으로 서늘한 시간대가 길어집니다. 이는 벌초 작업을 하는 데 더 많은 시간적 여유를 제공합니다.

2. 식물학적 근거

잡초의 생장 주기: 여름철 왕성하게 자라던 잡초들은 처서를 기점으로 성장속도가 현저히 둔화됩니다. 특히 명아주, 바랭이, 강아지풀 등 무덤가에 흔한 잡초들의 성장이 멈추기 시작합니다.

광합성 활동 변화: 일조시간의 감소와 기온 하락으로 식물들의 광합성 활동이 줄어들어, 처서 이후 벌초를 하면 추석 때까지 다시 무성해질 가능성이 크게 낮아집니다.

종자 형성 시기: 많은 잡초들이 처서 무렵 종자를 맺고 생장을 멈추는 시기이므로, 이때 제거하면 다음 해의 잡초 발생도 줄일 수 있습니다.

3. 전통문화와 관습적 측면

조상들의 경험적 지혜: 수백 년간 축적된 조상들의 경험에서 나온 지혜입니다. "처서가 지나야 벌초한다"는 속담은 단순한 미신이 아니라 실용적 지식의 결정체입니다.

음력과 양력의 조화: 추석은 음력 8월 15일이지만, 처서는 양력 기준의 절기입니다. 이 두 시점 사이의 간격이 벌초를 하기에 적절한 기간을 제공합니다.

4. 사회적·경제적 요인

휴가철 고려: 처서 이전은 여름휴가철과 겹치는 경우가 많아 가족들이 모이기 어려운 시기입니다. 처서 이후에는 휴가철이 끝나 가족 단위의 벌초가 용이해집니다.

농번기 회피: 전통적으로 처서 이전은 여름 농사의 마무리 시기로 농가에서는 매우 바쁜 때입니다. 처서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농사일이 여유로워져 벌초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처서와 관련된 전통 문화

속담과 격언: "처서가 지나면 모기도 입이 삐뚤어진다", "처서에 비가 오면 독에 든 쌀도 나온다" 등의 속담이 있어 처서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세시풍속: 처서 무렵에는 '칠석맞이'를 하며 견우와 직녀의 만남을 기념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이 시기부터 가을 준비를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현대적 의미와 벌초 문화의 변화

현재는 기후변화로 인해 처서의 의미가 다소 달라지고 있습니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늦더위가 길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처서를 기점으로 벌초를 시작하는 전통은 유지되고 있습니다.

또한 현대에는 벌초 대행 서비스, 친환경 벌초 방법 등 새로운 형태의 벌초 문화가 등장하고 있지만, 처서 이후에 시작한다는 기본 원칙은 여전히 지켜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처서 이후의 벌초는 단순한 관습이 아니라 기후, 생태, 문화, 사회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합리적 전통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 세대가 끝나면 아마 벌초문화는 사라질 것 같아요.

반응형